주메뉴

수중건강전문가들을 위한 교육 기관 Korea Aquatic Health Association

원고작성방법

「한국인간과학연구」 원고작성방법 및 논문형식

Ⅰ. 원고 작성 방법

 

1. 원고 작성은 HWP를 사용하여 작성해야 하며, 16절(폭: 190㎜, 길이: 260㎜) 용지에 단면으로 작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원고의 전체 분량은 학회 편집 양식을 적용한 용지 10매 내를 원칙으로 한다. 원고 작성의 기본사항은 다음과 같다.

① 1단(심사용)

② 편집용지: 16절(폭: 190㎜, 길이: 260㎜)

③ 용지여백: 위쪽 17㎜, 아래쪽 11㎜ 왼쪽 25㎜, 오른쪽 25㎜ 머리말 15㎜, 꼬리말 10㎜

④ 문단모양: 문단 시작은 들여쓰기 10, 줄 간격 170%, 문단아래 1pt,

⑤ 마침표 다음: 한 칸 띌 것(두 칸이 아님)

⑥ 논문제목: KoPub바탕체_Pro Bold, 글자 크기 18, 가운데 정렬

⑦ 국문초록: KoPub바탕체_Pro Light, 9포인트, 양쪽 정렬

⑧ 주요어: KoPub바탕체_Pro Light, 9포인트, 양쪽 정렬

⑨ 본문: KoPub바탕체_Pro Light, 10포인트, 줄 간격 170%, 문단아래 1pt, 양쪽 정렬

⑩ 참고문헌: KoPub바탕체_Pro Light, 9포인트, 내어쓰기 35 영문 Adobe Garamond Pro, 9포인트, 내어쓰기 35

⑪ 영문초록: 제목, 초록의 내용은 국문의 그것과 일치해야 함 (영문 제목의 명사 첫 글자는 대문자로 표기한다)

⑫ 표 및 그림의 주: KoPub돋움체_Pro Light, 9포인트, 양쪽정렬

⑬ 쪽 번호: 첫 장부터 시작하여 끝까지 순차적으로 쪽 번호를 용지 상단

⑭ 부록: 필요하면 실을 수 있으나 심사 과정에서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저자와 협의하여 삭제할 수 있음[개정 2024. 04. 01]

 

2. 논문의 모든 내용, 특히 인용문, 그림, 표 등은 반드시 저작권법에 위배되지 않게 기술해야 한다. 그리고 장과 절은 제목번호 붙임, 즉, 1단계는 1단계는Ⅰ, Ⅱ, Ⅲ, Ⅳ, Ⅴ, 2단계는 1, 2, 3, 4, 5, 3단계는 1), 2), 3), 4), 5), 4단계는 (1), (2), (3), (4), (5), 단순한 나열은 ①, ②, ③, ④, ⑤로 나열한다.

 

3. 자료는 가장 중요한 부분만을 가장 간결하게 제시하며 원문에서는 자료수집의 목적 및 자료를 이용할 사람들이 알아야 할 사항을 적는다.

 

4. 참고문헌에서 문헌나열은 먼저 동양어 표기 문헌을 가나다순으로 표기하고 이어 서양어 표기 문헌을 ‘알파벳’순으로 나열함과 서양어 표기문헌은 APA 방식을 따른다.

 

 

Ⅱ. 참고문헌 및 인용의 예

 

5. 본문 내 인용

① 문헌의 본문 인용 시 저자 2인까지는 모두 표기하고, 3인 이상은 국문의 경우 ‘제1저자 외’, 영문의 경우 ‘제1저자 et al.’로 표기한다.

② 기관이 저자일 경우 기관명 전체와 약어를 표기하고, 두 번째부터 약어만 사용한다.

 

6. 참고문헌

① 단행본: 저자, 발행년도, 서명, 발행처 소재지 및 발행처를 제시한다.

(예) 홍길동 (2020). 서명. (판사항). 발행지: 발행사

② 학술잡지: 저자, 발행년도, 제목, 잡지명, 권수(호수), 인용쪽수를 표시한다. 필요한 경우 쪽수 다음에 발행기관을 표시한다.

(예) 홍길동. (2019). 한국수중운동 연구동향에 관한 메타연구. 한국인간과학연구, 15(4), 87- 98.

(예) 홍길동 (2020). 참고문헌 리스트. 한국인간과학연구, 20(2). 21-22.

③ 학위논문: 석(박)학위논문, 대학교 제시한다.

(예) 홍길동 (2020). 논문명. 석사학위논문, 대학명.
Hong, K. D. (2020). Title of doctoral dissert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Name of University, Seoul, Korea.

(예) 홍길동(2020). 논문명. 박사학위논문, 대학명, 소재지
Hong, K. D. (2020). Title of master’s thesis (Unpublished master’s thesis). Name of University, Seoul.

④ 번역서와 편역서: 번역서(혹은 편역서)를 인용의 출처로 사용했을 경우 원저자명을 기준으로 참고문헌 제시 순서를 결정한다. 원저자명 뒤에 본문에서 인용한 번역서의 출판 연도를 괄호 안에 제시하고 번역서명(KoPub바탕체_Pro Bold, Adobe Garamond Pro,이탤릭체)을 적는다.

(예) Corey, G., & Corey, M. S. (2016). 집단상담 과정과 실제 [Group: Process and Practice, Seventh Editi]. (김진숙, 김창대, 박애선, 유동수, 전종국, 천성문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원전은 1996에 출판).

⑤ 영문 참고문헌 주의점: 책명은 이탤릭체로, 논문 제목은 첫 단어만 대문자로, 나머지는 소문자로 표기한다(단행본의 경우도 이와 동일함). 단, 정기간행물의 책명은 각 단어의 첫 글자를 모두 대문자로 표기함.

(예)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10). Publication manual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4th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예) Brookhart, S. M., & Freeman, D. J. (1992) Characteristics of teacher candidate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2, 37-65.

(예) Rogers, C. R. (1951). Client-centered therapy. Cambridge: Houghton, Mifflin.

⑥ 두 개 이상의 논문의 제 1저자 성(姓, last name)이 동일한 경우 제 2저자, 제 3저자의 성(姓, last name)에 따라 알파벳 순으로 나열한다. 동일한 저자들이 동일한 순서로 된 참고문헌은 출판연도에 따라 정리한다. 동일 저자, 동일 출판연도의 경우 제목에 따라 알파벳순(관사 제외)으로 정리한 후 년도 뒤에 a, b, c 등으로 순서를 표기한다. 같은 해 출판된 동일 저자들의 참고문헌이 연속물로 표기되면 연속물 순으로 배열한다. 단일 저자의 참고문헌은 그 저자의 공저 참고문헌보다 먼저 기입한다.

⑦ 기타 사항은 미국심리학회에서 발행한 APA publication Manual 7th edition을 참고한다.

 

 

Ⅲ. 그림과 표

 

7. 표는 가능한 간결하게 만들며 세로줄을 긋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표의 번호와 제목은 표 위에 제시한다.

<표의 사용 예>

<표 1> 기술통계
     
     
     

 

8. 그림은 동판을 뜰 수 있거나 쉽게 재작성할 수 있는 형태로 제시한다. 그림의 번호와 제목은 그림 아래에 제시한다.

<그림의 사용 예>

<그림 1> 연구모형
 

 

9. 논문의 모든 내용, 특히 표, 그림, 인용문 등은 반드시 저작권법에 위반되지 않게 기술해야 한다.